티머니,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머니처럼 충전 후 사용하는 선불전자지급수단. 매일 3,300만 건 이상 사용될 만큼 우리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지만, 이용자 대부분은 ‘소멸시효’가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습니다. 그 결과, 매년 529억 원에 달하는 충전금이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고 있었죠. 국민권익위원회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불전자지급수단 소멸시효 사전 안내를 의무화하는 새로운 권익 보호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이제 더 이상 모르는 사이에 내 돈이 사라지는 일은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
💸 왜 내 돈이 사라질까? 소멸시효의 함정
선불전자지급수단은 미리 충전한 금액으로 결제하는 전자금융 수단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교통카드, 페이머니, 각종 포인트 등이 있습니다. 문제는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면, 5년의 소멸시효가 지나 잔액이 사업자에게 귀속된다는 사실입니다.
- 2021~2024년 동안 소멸된 금액: 총 2,116억 원
- 연평균 약 529억 원의 잔액이 증발
- 국민 64%가 소멸시효 존재 자체를 모름 (국민생각함 설문 결과)
특히, 약관이나 상품 설명에서 소멸시효 안내가 부족해 이용자 권익 침해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습니다.
🔔 이제는 사전 안내 의무화!
국민권익위원회는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과 협력해 ‘선불전자지급수단 이용자 권익 보호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멸시효 만료 1년 전부터 3회 이상 사전 통지 (이메일·문자 등)
- 표준약관에 소멸시효 의무 표기
- 실물 카드에는 굵고 큰 글씨로 소멸시효 안내
- 소멸시효 안내를 위해 필요한 범위 내 개인정보(휴대전화, 이메일) 수집 가능
- 소멸시효 완료 잔액을 주기적으로 공개하고, 공익사업에 활용 추진
이제는 미리 안내를 받아 소멸 직전 잔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동안 ‘묻지마 귀속’되던 잔액도 사회적으로 환원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됩니다.
💡 내 돈 지키는 꿀팁
- 정기적으로 앱·웹에서 잔액 확인하기
- 사용하지 않는 잔액은 쇼핑, 교통비, 포인트 전환 등으로 소진
- 선불카드 발급 시 소멸시효·약관 꼼꼼히 확인
- 알림 수신에 동의해 소멸 전 안내를 꼭 받기
국민권익위원회는 “이번 제도 개선으로 선불전자지급수단 소멸시효 안내가 강화돼 이용자 권익을 크게 증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이제 소멸시효 때문에 내 돈을 허무하게 날리는 일은 점점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사용하지 않고 묵혀둔 교통카드와 페이머니, 오늘 바로 확인해보세요.
2025.03.23 - [분류 전체보기] - [Grit(그릿)]_앤절라 더크워스가 전하는 열정과 끈기의 힘
[Grit(그릿)]_앤절라 더크워스가 전하는 열정과 끈기의 힘
성공의 비결이 재능이 아니라 열정과 끈기라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 있나요? 앤젤라 더크워스의 "그릿(Grit)"은 바로 그 이야기를 과학적으로 풀어낸 자기계발 베스트셀러예요. 2016년 출간된 이 책
thebestin35.com
2025.03.23 - [분류 전체보기] - [돈의 속성] 최상위 부자가 말하는 돈의 대한 모든 것
[돈의 속성] 최상위 부자가 말하는 돈의 대한 모든 것
돈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찾고 있다면, 김승호 회장의 "돈의 속성"은 꼭 읽어봐야 할 책이에요. 스노우폭스 그룹의 창업자로 성공한 사업가 김승호 회장이 자신의 경험과 철학을 바탕으로 쓴 이
thebestin35.com
2025.07.09 - [분류 전체보기] - 힐링명소, '수락휴 트리하우스' 노원 자연휴양림 완전정복
힐링명소, '수락휴 트리하우스' 노원 자연휴양림 완전정복
✅ 수락 휴 자연휴양림은?2025년 7월 17일 대한민국 도심, 서울시 노원구 수락산 자락 동막골에 위치한 서울 최초 자연휴양림 '수락 휴'가 정식 개장했습니다. 총 사업비 231억 원이 투입된 이 휴양
thebestin35.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