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갑을 잃어버렸다면? 경찰청 유실물 통합포털 'LOST112'

by 굳굿 2025. 8. 6.
반응형

살아가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지갑, 휴대폰, 열쇠 같은 물건을 잃어버린 경험이 있으시죠? 계산을 한다던지, 전화를 할려고 하는데 내 물건이 없어졌다는 걸 아는 순간 당황스럽고 몹시 짜증나는 감정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특히 연세가 있으신분들께서는 이런 상황이 벌어지면 머리속이 하얗게 되는 일이 있으셨을 겁니다. 이럴 경우에 큰 도움이 되는 서비스가 바로 경찰청 유실물 통합포털 LOST112 입니다. 지금부터 분실물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이 유용한 공공서비스를 소개하고, 실제 이용 방법과 사례를 알려드릴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LOST112


목차

1. LOST112란?
2. 실제 사례: 지갑을 되찾은 경험
3. LOST112의 주요 기능
4. 분실물과 습득물의 차이
5. 이용 방법 (온라인·오프라인)
6. 유실물 처리 절차
7. 시니어를 위한 활용 꿀팁

1. LOST112란?

LOST112는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전국 유실물 정보 통합 검색 포털입니다.
버스, 지하철, 택시, 마트, 공공기관 등에서 접수된 유실물 정보를 한 곳에 모아두어 누구나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누군가 주운 물건이 경찰서나 기관에 접수되면 그 정보가 LOST112에 등록되고, 분실자는 검색을 통해 내 물건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사이트 바로가기 👉 www.lost112.go.kr

 


2. 실제 사례: 지갑을 되찾은 경험

한 시민은 외출 후 지갑을 분실해 큰 걱정에 빠졌습니다. 개인정보 유출이 걱정됐지만, 과거 지인이 LOST112를 통해 분실물을 찾았다는 이야기를 떠올리고 바로 포털에 접속했습니다. 놀랍게도 며칠 전 잃어버린 지갑 정보가 등록되어 있었고, 해당 경찰서를 확인해 직접 방문 후 무사히 수령했습니다. 참고로, 본인이 직접 가지 못하면 가족 대리수령도 가능합니다. 등본과 대리인 신분증만 지참하면 간단히 받을 수 있어 매우 편리했습니다.


3. LOST112의 주요 기능

  • 분실물 검색 – 지갑, 가방, 휴대폰 등 품목·브랜드·이름으로 검색 가능
  • 습득물 조회 – 경찰서 및 참여기관에 접수된 물건 확인 가능
  • 분실물 신고 – 온라인으로 분실 접수 가능, 빠른 대응 가능
  • 통합 정보 제공 – 전국 지하철·버스·쇼핑몰·공공기관 연계


4. 분실물과 습득물의 차이

  • 분실물 – 내가 잃어버린 물건, 내가 신고해야 함
  • 습득물 – 누군가 주운 물건을 신고한 것, 주운 사람이 신고함

5. LOST112 이용 방법

① 온라인 분실신고

  1. LOST112 접속 후 회원가입 및 로그인 (혹시 모를일을 대비 미리 회원가입을 추천)
  2. '분실물 신고' 메뉴 클릭
  3. 분실 날짜·장소·물건 특징 입력 후 접수 완료
  4. 자동차 번호판 분실은 반드시 경찰서 직접 방문

② 오프라인 신고

  • 가까운 지구대·파출소·경찰서 방문 후 접수증 발급

③ 습득물 신고

  • 주운 물건은 경찰서 직접 방문 신고
  • 보관증 발급, 권리 포기 여부 선택


6. 유실물 처리 절차

  1. 습득자가 경찰서·기관에 신고
  2. LOST112에 정보 등록
  3. 분실자가 검색 후 내 물건 확인
  4. 본인 확인 후 수령 (신분증 필수)
  5. 대리수령 시 등본·위임장·신분증 사본 필요
  6. 6개월 경과 시:
    • 습득자 권리 포기 X → 습득자가 취득 가능
    • 습득자 권리 포기 또는 미확인 → 국고 귀속
     

7. 시니어를 위한 활용 꿀팁

  • 스마트폰에 LOST112 앱 설치 시 실시간 확인 가능
  • 분실 신고 후 관리번호는 꼭 기록
  • 대리수령 시 필요한 등본·신분증 사본을 미리 준비


물건을 잃어버렸다고 포기하지 마세요!
이제는 LOST112를 통해 분실물을 쉽고 안전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시니어분들도 가족과 함께 활용하면 분실물 걱정을 크게 덜 수 있어요.

👉 경찰청 유실물 통합포털 LOST112 바로가기

 

 

 

자영업자의 개업, 폐업, 현실 극복을 위한 지침

우리 사회는 갈수록 자영자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취업난 속에서 청년층의 자영업 운영, 중, 장년층에서 퇴직 이후 자영업 운영 등 자영업의 무한 경쟁 속에서 운영하면 할수록

thebestin35.com

 

반응형